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3.140.188.195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라이트 모드로 전환
로그인
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.
여기를 눌러 알림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[공지]
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.
논리적 오류/비형식적 오류
(편집 요청)
토론
ACL
알림
현재 진행 중인
사용자 토론
이 있습니다.
[오류!]
[알림]
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.
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. 로그인된 사용자(이)여야 합니다. 해당 문서의
ACL 탭
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RAW 편집
미리보기
[목차] == 설명 == 비형식적 오류는 논증의 내용 및 논증을 꼬이게 만드는 요소 때문에 일어나는 논리적 오류를 뜻한다. 즉, 형식적 오류가 아니다. == 사전 지식 == 비형식적 오류를 알아내려면 반드시 알아두자. === 전제와 결론 구분 === 전제와 결론을 구분해서 말해야 하는데 이 둘을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. 예시: ||A: ㄱ(전제)이므로 ㄴ(결론)야. / ㄴ(결론)야. 왜냐하면 ㄱ(전제)이기 때문이지. B: ㄱ는 틀렸어. /왜 ㄱ여야 하는데? '''A: 지금 내 말이 틀리다는 거야?''' __B: 내 말은 ㄴ(결론)이 아니라 ㄱ(전제)가 틀렸다는 말이잖아.__ || 전제 또는 결론 중에서 부분 요소만 지적하는데, A는 논증 전체를 부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상황이 어려워진다. A의 굵게 표시된 진술에 말문이 막혀 밑줄 친 B의 말처럼 대응을 못 하는 경우가 실전에서 잦다. 이 경우 말다툼까지 갈 수 있다. 또 다른 예시로, ||A: 가수는 모욕하면 안 돼. 왜냐하면 다 미인이기 때문이야. B: 예쁘지 않은 가수는 모욕해도 돼? A: 그럼 가수를 모욕해도 되는 거야?|| 전제를 지적했을 뿐인데 전제와 결론, 논증 전체를 부정하는 것처럼 받아들이는 상황이다. 그 누구도 모욕하면 안 되는 건 맞지만, 그게 예쁘기 때문이란 말은 기준을 내릴 수 없어 틀린 전제이다. === 절대적인 것과 일반적인 것 === 절대적인 것은 한 치의 오차도 없는 것을 뜻한다. 일반화는 절대적인 거라고 확신하지 못 해도 절대에 가깝다고 예상할 수 있는 수준이다. 일반과 절대를 구분하자. === 포함 관계 사이의 오해 === 1. 가에 ㄱ 말고도 ㄴ, ㄷ, ㄹ...가 포함된다 해도 가에는 ㄱ만 있다고 결론을 내리는 오류. 예를 들어 노래에는 '밝은 세상'만 있다는 실수이다.(성급한 일반화의 오류) 1. 은근슬쩍 거짓 정보를 끼워넣지는 않는지도 잘 확인하자. 1. 개념 가, 나가 ㄱ을 공통 원소로 가지고 있을 때, ㄱ가 가 또는 나에만 포함된다고 하는 경우도 오류이다. 예를 들어 수학(교과)을 잘 하는 사람이 수학(학문)을 잘 할 거라 생각하는 오류다. 1. 무조건 A 아니면 B라는 생각도 오류이다. 예를 들어 갑과 을이 대립한다 가정했을 때, 갑이 틀렸다고 해서 을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. === 오류의 분류 === 특정한 오류가 아래 두 가지에 해당할 수도 있고, 많으면 네 가지에 모두 속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한 가지로 예속시키기 어렵다. 1. 언어적 오류: 언어를 잘못 써서 일어나는 오류. 1. 심리적 오류 1. 귀납적 오류: 가정과 결론의 인과관계가 약하거나 없을 때 일어나는 오류. 1. 자료적 오류: 자료가 잘못되었을 때 일어나는 오류. == 유형 == === ㄱ~ㅂ === ==== 결합 오류 ==== 부분이 가지고 있는 속성으로 전체의 속성을 판단하는 것. * 예1: 길동은 고추장과 빵을 좋아하니 고추장을 바른 빵도 좋아할 것이다. * 예2: A 팀에 소속된 갑, 을, 병은 똑똑하니 아무리 그들이 의견이 안 맞아도 A 팀은 세질 것이다. ==== 공통 원인 무시의 오류 ==== 사건 1이 일어나면 사건 2와 사건 3이 일어날 때, 사건 2와 사건 3에 인과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는 오류. * 예1: 물을 마시면 피부가 좋아지고 머리가 좋아진다. 즉 피부가 좋아지면 머리가 좋아진다. * 예2: 도희는 길동을 낳았고 서준을 낳았다. 고로 길동은 서준의 부모이다. ==== 도덕주의적 오류 ==== 도덕주의적 오류는 윤리만을 기준으로 판단을 내리는 오류이다. * 예1: 사람은 모두 평등하니까 사람은 다 똑같이 생겼다. * 예2: 성차별은 하면 안 되므로 남자의 평균 키도 여자의 평균 키도 166cm이다. ==== 복합 질문 ==== 복합 질문은 어떤 질문 안에 또다른 질문을 숨기는 것이다. 이건 단순히 예/아니오로 답할 수 없는 것이다. * 예1: 그 거짓말 진짜니?[* 어떤 말을 거짓으로 전제하는 것.] * 예2: 너가 훔친 돈으로 술을 사 마셨니?[* 돈을 훔치지 않았다고 하면 술을 사 마신 걸 긍정하게 되는 거고, 술을 사 마시지 않았다고 하면 돈을 훔친 걸 긍정하는 것이다.] ==== 분해 오류 ==== 결합 오류와는 방향이 반대인 오류로, 전체 속성으로 부분을 판단하는 오류이다. * 예1: 한국은 민주주의 국가이니 한국인도 차별을 하지 않을 것이다. * 예2: 한국은 메가밍크스 강국이니 한국인이라면 메가밍크스를 잘 맞출 것이다. * 예3: 다올초등학교는 엄격한 학교니 여기 선생님도 엄격하다. === ㅅ~ㅈ === ==== 사람에 호소하는 오류 ==== 같은 주장이라도 다른 사람이 한다고 해서 그 논증의 진위가 변하지 않는 건 당연한데, 발화자의 논증 자체가 아닌 발화자의 성격, 재산, 학력, 나이 따위를 근거로 그 논증의 진위를 따지려는 오류.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. * 길동은 15살이고 영희는 50살이니 연장자인 영희가 한 말이 더 옳다.[* 특히 길동이 맞는 말을 했다면 그렇다.] * 아우야, 너는 어른이 아니고 나는 어른이니 내 말이 옳아. ==== 순환 논법 ==== 자기가 주장한 걸 다시 그 근거로 써서 일어나는 오류.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. * 사람은 법 앞에서 평등하다. 왜냐하면 사람은 법 앞에서 평등하기 때문이다. * 걔가 못됐으니까 못됐지. 주장의 대우를 근거로 쓰는 것도 순환 논법에 해당한다. ==== 애매성 ==== 애매성은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말장난으로 말미암은 오류이다. * 예1: 겨울에는 눈(Snow)이 내리니 겨울에 한 잘못은 눈(Eye)에게 더 잘 들킨다. * 예2: 발 없는 말(word)이 천리 간다. 따라서 말(Horse)의 발을 자르면 말이 더 멀리 간다. ==== 역인과관계의 오류 ==== 인과 전도의 오류라고도 하며, 원인과 결과를 맞바꾸는 것. * 예1: 대철은 연주자니까 악기 연주를 잘 한다. * 예2: 소영은 가수니까 노래를 잘 부른다. * 예3: 길동은 키 크니까 줄넘기를 한다. ==== 자연주의적 오류 ==== 자연의 섭리를 근거로 상황을 판단하는 오류. 위의 도덕주의적 오류와는 방향이 반대이다. * 예1: 사랑은 남녀끼리 해야 하니 동성애는 과학적으로 불가능하다. * 예2: 사람은 아버지를 더 닮기 때문에 친가와 외가를 구분하는 것은 정당하다. === ㅌ~ㅍ === ==== 특별 변론의 오류 === 이중잣대를 드는 오류. * 예1: 모든 사람들은 한자 급수가 3급 이상임이 옳지만 내 동무는 소중하니까 예외이다. * 예2: 너는 욕하면 안 되지만 나는 욕해도 돼. ==== 피장파장의 오류 ==== 상대가 한 잘못을 자기가 하는 것도 정당하다고 하는 오류. 상대가 어떤 잘못을 했다고 자신이 따라한다 해서 그게 정당한 건 아니다.
im preview
요약
문서에 기여한 것을
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
으로 배포하고, 저작자 표시를 문서 역사란에 표기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합니다.
이 동의를 철회하지 않겠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18.217.104.36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3.140.188.195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닫기
사용자 문서
문서 기여 내역
토론 기여 내역
(없음)
×
설정
위키
토론
스킨
테마
자동 (시스템 설정)
라이트
다크
각주 표시 형식
브라우저 기본
팝오버
팝업
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
사용
내비게이션 바 고정
사용
사이드바 설정
기본
숨김
하단 표시
사용자 사이드바 끄기
사용